분류 전체보기146 [Java] resource 디렉토리의 경로 가져오기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resource 디렉토리에 정적 파일을 저장합니다. 이 때 파일의 경로를 알기 위해서는 resource 디렉토리의 경로가 필요합니다. 이 때 resource 디렉토리의 경로를 가져오기 위해 ClassLoader를 활용합니다. 꼭 클래스 로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다만 궁금하신 분은 이 글을 읽어주세요! resource 디렉토리의 경로 가져오기 resource의 디렉토리를 가져오기 위해 ClassLoader에 있는 getResourc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public URL getResource(String name) 이 메소드는 주어진 이름을 가진 자원을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먼저 리소스의 상위 클래스 로더에 위임합니다. 부모가 null 이면 가상 머신에 빌드된 클래.. 2021. 8. 28. [Java] ClassLoader(클래스 로더) 클래스 로더는 런타임중에 JVM(Java Virtual Machine)에서 동적으로 Java 클래스를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래스 로더는 JRE(Java Runtime Environment)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JVM은 클래스 로더 덕분에 Java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파일 시스템이나 파일에 대해 알 필요가 없습니다. Java의 클래스는 실행 시 한번에 메모리에 로드되는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할 때 메모리로 로드됩니다. 클래스가 필요한 순간에 메모리로 로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ClassLoader(클래스 로더) 입니다. 내장 클래스 로더의 종류 자바에는 3가지 클래스 로더가 있습니다. Bootstrap 클래스 로더 Extension 클래스 로더 (자바 9부터 확장 매커니즘이 de.. 2021. 8. 27. [Java] ClassNotFoundException VS NoClassDefFoundError 런타임에 JVM에서 요청한 클래스가 classpath에 없을 때 ClassNotFoundException, NoClassDefFoundError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예외는 비슷해보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ClassNotFoundException 애플리케이션이 클래스의 이름(정규화된 이름)으로 클래스 로드를 시도했을 때 classpath에서 해당 클래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예외입니다. 주로 Class.forName(), ClassLoader.loadClass(), ClassLoader.findSystemClass() 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로드하려 할 때 발생합니다. 제 경우엔 의존성을 추가하지 않은 상태로 해당 의존성에 포함된 클래스를 로드하려고 할 때 자주 마주하는 예외입니다. 리플.. 2021. 8. 27. [우테코 레벨3] 잡담을 많이 나누는 것이 경쟁력이다. 송파구에서 일을 '더' 잘하는 11가지 방법 중에서"잡담을 많이 나누는 것이 경쟁력이다"라는 3번 항목이 있습니다. 처음 이 항목에 대해 이해한것은 '지식에 대한 잡담으로 지식을 키우자!' 였습니다. 하지만 유튜브에서 '우아한형제들' 김범준 대표님의 배달의민족 CEO에게 뽑고 싶은 개발자를 물어보았다 라는 영상에서 3번 항목의 취지를 완벽하게 이해했습니다. 평소 친분을 쌓아서 인간대 인간으로 개인의 친숙함이 있는 상황이면 의견에 반대하거나 누군가는 이상하게 생각할 수 있는 의견도 자신있게 낼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영상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나옵니다.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엘리베이터가 느리다고 항의를 했습니다. 어떤 사람은 100만원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습니.. 2021. 8. 26. [우테코 레벨3] 이거 좋은거니까 한번 해봐요 우테코 레벨3에서는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제가 참여한 프로젝트는 "토이프로젝트 커뮤니티 서비스"였습니다. 희망하는 도메인에 1지망 부터 12지망까지 투표하는 방식이었는데 운좋게 참여하고 싶었던 도메인에 당첨이 됐습니다. (원래는 크루원 전체가 각자 1개의 서비스를 기획해서 발표를 했는데 그 중 인기있는 12개의 서비스가 뽑혔던 것입니다.) 이 글은 "토이프로젝트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놀토(놀러오세요 토이프로젝트)팀에서 협업중에 생각했던 것을 정리한 글입니다. 참 좋은건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놀토팀은 백엔드 4인으로 함께모여서 진행을 할 때가 많았습니다. 이유는 전원이 처음해보는 기술에 대해서는 학습한 부분을 공유하거나 실제 코드에 반영하는 과정을 보면서 학습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 2021. 8. 2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