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6

[개발자로 살아남는 방법] EP.1 개발자 문화 - 주요 원칙 이 글은 백기선님의 개발자 문화에 대한 라이브를 듣고 요약 및 정리를 한 글입니다. 요약 및 정리 과정에서 누락된 정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글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저의 책임입니다. https://www.youtube.com/user/whiteship2000 백기선님께서 다니는 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의 개발자의 핵심 원칙을 공유해주셨습니다. 개발자에게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개발자 문화도 중요하다라는 의미에서 말씀해주셨습니다. 회사의 문화에 맞추려고 하지말고 자신에게 맞는 회사의 문화를 선택해서 입사하자 -> 면접에서 개발자 문화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면 회사의 문화에 맞추려고 하지말고 자신의 스타일을 말하라 회사의 개발자 문화에 맞지않는데 자신이 회사의 문화에 맞는듯이 속여서 입사하면 결국 힘들.. 2021. 6. 9.
[2021.05.23] 2021. 5. 24.
[레벨2] 지하철 노선도 경로조회 미션 학습로그 [CORS] Interceptor 사용시 CORS 이슈 - 3 내용 Interceptor 사용시 CORS 문제 발생 prefilght가 interceptor에 걸려서 토큰 검사를 진행하는것이 문제의 원인 -> 인터셉터에서 토큰이 유효하지 않으면 예외가 발생하도록 구현한것 prefilght의 Http Method 는 OPTIONS OPTIONS 메서드를 인터셉터에서 걸러주도록 구현해서 해결 [Spring-validation] Valid vs Validated - 3 내용 @Valid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면 바인딩 되는 값을 검증할 수 있음 @Valid 애너테이션을 사용 시 전체 필드(유효성 검사 애너테이션을 붙인)를 한번에 검사하여 유효성을 보장 해줌 -> 하지만 부분 검증이 필요할 경우 문제가 발생 @V.. 2021. 5. 21.
[레벨2] 지하철 노선도 관리 미션 학습로그 [Architecture] Request, Response DTO - 3 학습 내용 위의 피드백을 받고 고민을 시작 Request의 경우 단순하게 Service (Application Layer)에서 Presentation Layer의 DTO를 받는것도 상위레이어를 참조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이와같이 코드를 구현 DTO 를 왜 쓰는가에 대한 원론적인 물음으로 들어가면 -> 도메인을 보호하기 위함 다시 코드를 보면 Controller -> Service 로 Request -> DTO 로 변환해서 보내주는것이 위의 목적에 부합하는가와 과연 장점이 있는가를 물어보면 대답은 NO 다만 Service 가 비지니스 로직을 가지는 구조이고 Service 가 Service 를 참조하는 설계라면? -> DTO 를 만들어주.. 2021. 5. 21.
[레벨2] 배포 미션 학습로그 [보안] bastion - 3 내용 보안을 한곳에 집중 시키기 위한 서버 예를들어 22번 포트가 뚫린다면 서비스에 심각한 문제 발생 22번 포트 접속을 bastion 서버에 오픈하고 보안을 bastion 서버에 집중시킴 새로 생성하는 인스턴스마다 해당 bastion으로 연결시키면 모든 서버가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손쉽게 가질 수 있음 2021.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