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6 젠킨스로 CI/CD 적용하기(CD 적용편) - 2 이번 글에서는 젠킨스로 CD, 즉 지속적 배포를 적용해보겠습니다. 먼저 CD를 위해서 프로젝트의 소스코드를 빌드한 후에 만들어진 패키지 파일(xxx.jar, bundle.js 등등)을 배포할 서버에 보내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이 필요합니다. Jenkins의 메뉴에서 Jenkins 관리로 들어간다음 Manage Plugins 로 들어갑니다. 1번부터 4번까지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빌드한 소스코드의 패키지 파일(xxx.jar, bundle.js)를 배포할 서버에 보내줄 것입니다.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은 ssh접속을 위한 설정을 하고 scp를 이용해서 파일을 보냅니다. 배포를 위해 패키지 파일을 보.. 2021. 8. 19. 젠킨스로 CI/CD 적용하기(CI 적용편) - 1 CI/CD 는 지속적 통합 / 지속적 배포 라고 하는데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지식으로 "빌드나 배포 같은걸 자동화 하는 것이구나!"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공부해볼 생각은 안하고 있었는데 어려워 보인다는 이유로 미뤄왔습니다. 하지만 막상 공부를 해보고 실습을 해보니 생각보다 쉬웠고 재밌다! 라고 앞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CI/CD 왜 해야하는가? CI(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 CD(Continuous Deployment) : 지속적 배포 CI는 애자일 방법론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애자일에서 스프린트 기간을 짧게 가져가는데 일을 분배하고 스프린트 기간이 끝나면 회고하는 주기가 짧습니다. 즉 애자일 방법론은 피드백의 주기가 짧다는 의미입니다. CI 또한 테.. 2021. 8. 18. [레벨3] Git 브랜치 전략 먼저 이 글에서 main 브랜치는 master 브랜치를 의미합니다! 'main 브랜치 == master 브랜치 ' 로 생각하고 글을 읽어주세요 :) Git-flow Git-flow는 빈센트 드리센(Bincent Driessen)이 2010년에 제안한 브랜치 전략 모델입니다. 우선 알아야 할 것은 빈센트 드리센도 2020년 3월 5일에 2010년에 작성한 글에 코멘트를 작성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10년이 지난 모델이고 웹 애플리케이션 같은 경우는 여러 버전의 소프트웨어로 관리될 필요가 없고 지속적으로 제공해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복잡한 모델인 Git-flow 모델보다 Github-flow 같은 간단한 브랜치 전략 모델을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Git-flow 에 대한 내용은 아래부터 시작하겠.. 2021. 8. 18. [레벨2] 지하철 노선도 협업 미션 학습로그 [Spring] NamedParameterJdbcTemplate - 3 내용 JDBC 를 위한 템플릿 클래스 기존의 쿼리문 파라미터에 '?' 를 사용하는 대신 매개 변수명을 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blic int countOfActorsByFirstName(String firstName) { String sql = "select count(*) from T_ACTOR where first_name = :first_name"; SqlParameterSource namedParameters = new MapSqlParameterSource("first_name", firstName); return this.namedParameterJdbcTemplate.queryForObject(sql, named.. 2021. 6. 23. [개발자로 살아남는 방법] EP.2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력”이란? 이 글은 백기선님의 개발자 문화에 대한 라이브를 듣고 요약 및 정리를 한 글입니다. 요약 및 정리 과정에서 누락된 정보가 생길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user/whiteship2000 열정이 있다면 이력서에 "나는 열정이 있어요" 라고 끝내는 것이 아닌 열정이 있다는 근거를 보여주는것이 좋습니다. ex) 스터디를 하고, 책을 번역, 책을 써봄, 리뷰 참가, 개발자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서적을 많이 읽어봤다, 블로그 글을 꾸준히 써봤다. 책임감은 야근을 하거나 과한 업무 일정에 동의하라 라는 의미가 아니다. 팀원의 서비스나 코드를 백업이 가능할 정도로 책임감을 가지고 일해라는 것(오너쉽과 비슷) (회사에서 야근한 시간으로 책임감의 크기가 결정되지 않는다.) 잘못된 평가 방법.. 2021. 6. 1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0 다음